제 목 | 체제론 | ||
등록일 | 2025-09-25 03:23:05 | 조회수 | 84 |
지난번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1. 다름이 아니라 지난번 답변에서 체제론은 환경을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개방체제라고 하셨는데요(생태론 비교행정론도 기존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폐쇄체제와는 달리 개방체제) 그런데 필기노트 39 페이지에 체제론의 쟁점에서 표 위에 체제론 ≠ 개방체제라고 되어있는데 이건 무슨 의미인가요? (교재에는 체제론적 접근 = 개방체제적 접근법 이라고 되어있고 체제론에서 체제가 환경을 고려한다고 되어있으면 개방체제가 맞는거 같아서요..)
2. 체제의 진화가 체제론의 특징이라고 하면 틀린 것인가요?(개방체제의 특징은 맞는데..)
그렇다면 체제론이 개방체제라는 의미는 단순히 환경을 고려한다는 의미고 나머지 개방체제의 특징과는 다르다는 건가요?
다른 여러 행정학 질문에 대한 답글을 봐도 체제론=개방체제를 전제로 한다고 보는거 같은데 개방체제는 진화와 발전이 가능하고 체제론은 변화와 발전 설명이 곤란하다고 하니 개념이 헷갈립니다..
3. 기출문제집에 2018 공기업 기출에서 체제는 항상 동태적 균형을 유지한다가 틀렸다고 되어있는데요..
교재에 체제론에서 체제의 의미는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주고받는 살아있는 유기체라고 의의가 적혀있습니다 또한 체제론적 접근 : 환경적 요소와의 관련성 속에서 행정을 연구하려는 개방체제적 접근법이라고 되어있구요
그렇다면 체제론=개방체제라는 의미인 것같은데 개방체제의 특징 중 하나가 동태적 균형인데 체제론에서 체제가 항상 동태적 균형을 유지한다는 지문은 도대체 왜 틀린 것인가요?ㅜㅜ
체제론 자체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한다고 보는 것인데 폐쇄체제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고 보는거니까 이 문제에서 체제론적 접근방법에 대해 물었으니 여기서의 체제는 개방체제로 봐야하는게 맞지 않나요?
체제론은 일반적으로 개방체제로보니까 개방체제의 특징=체제론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체제를 항상 동태적 균형을 유지한다고 보는게 맞는거 같은데 틀린지문이라니 이해가 어렵네요
(너무 길어져서 정리하자면 체제론적 접근=개방체제적 접근이 맞는데 왜 문제에서 체제론적 접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의 답이 체제는 항상 동태적 균형을 유지한다(개방체제의 특징)가 답인건지 궁금합니다)
이전글 | 25국7모의고사 14회 질문 |
다음글 | 행태론 투입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