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3 여다나 132, 최적모형
등록일 2025-01-31 02:15:53 조회수 717

선생님 안녕하세요!!

최적 모형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 거시적, 체계적 결정구조: 결정을 위한 결정(상위정책: Meta-policy) 단계까지 고려하여 정책성과를 최적화

- 확장된 환류과정: 정책과정의 각 국면은 중첩성, 가외성, 환류성이 필요

 

<- 이렇게 써있는데요!

QnA 게시판 뒤져서 읽다보니 아래와 같이 써 있더라고요.

[최적모형은 정책단계를 앞뒤로 크게 확장시켜 중첩시킴으로써 성과를 제고시키려는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이다. 초정책(결정을 위한 결정), 본래의미의 결정, 결정 이후의 결정(집행과 평가 등을 위한 결정) 이 3단계가 완전히 독립되어 있는 게 아니라 환류를 통해 서로 필요 시 수정된다는 것]

 

이렇게 써 있는 것에서 거시적, 체계적, 중첩성, 환류성 키워드까지 이해가 갔는데요.

'가외성'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그리고 합리모형을 근간으로 하는 최적모형이기에 가외성이나 중첩성이 뭔가 안 맞아 보이는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글 정보
이전글 기출문제 선행정학 p456
다음글 주민소송 원고 관련 질문

합격생조교25 (25-01-31 16:45)
안녕하세요. 카스파 합격생조교25입니다.

최적모형은 정책에 대한 피드백과 반영을 중시하며 정책성과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정책과정에서 불확실성 감소를 위해 가외성이 중요하게 되는 것입니다.
최적모형은 합리모형을 근간으로 하는 것은 맞지만, 합리모형을 한층 더 체계화시켜 중첩과 가외성을 갖추는 것이 정책을 최적화시키는 길이라고 드로어가 주장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