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영기준예산제도, 준예산 질문입니다.
등록일 2021-03-04 08:48:01 조회수 1,322

안녕하세요 

교수님이 3월 3일 어제 여다나 강의에 올려주신 테스트 문제를 풀다가 궁금한 게 생겨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12번 영기준 예산제도 문제

2번 선지 영기준 예산제도는 실제로 영의 상태에서 모든 사업의 타당성을 재검토한다 이게 X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4번 선지 영기준 예산제도는 상이한 사업 간에 우선순위 비교가 이루어져야 하는 조직 하층부에서는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답은 X였는데 상층부에 적용하는게 왜 한계가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20번 준예산 문제

1번 선지 준예산은 우리나라에서 예산안이 회계연도 개시일까지 국회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사용하는 제도로 국회의 의결이 있어야 집행될 수 있다 O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준예산은 국회 의결없이 성립되는 제도 아니었나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 정보
이전글 2021년 기출로된 선행정학 모의고사 질문입니다
다음글 질문 드립니다.

합격생조교3 (21-03-04 16:13)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행정학의 많은 부분에서 제도의 명분(주장, 추구)과 현실(평가, 비판)이 상충되기 때문에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많습니다.
따라서 어떤 이론이나 제도든지 특징·장점과 그 제도의 현실·단점은 구분해서 알아두셔야 합니다.

1. 같은 질문에 대해 교수님께서 이전에 하신 답변을 첨부해드립니다.

영기준예산이 원점에서부터 모든 사업을 검토하므로 점증현상을 막는다는 것은 영기준예산 지지자들의 명분이나 취지이고, 영기준예산을 비판하는 측에서는 현실적으로 모든 사업계획에 대해 원점으로부터 검토하여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고 보는 건 잘못이며 실제로는 90% 정도 선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원점 출발은 아니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지문의 논리구조를 파악해서 유연하게 접근하셔야 하며, 혼란스러우시면 세모를 해두었다가 다른 지문부터 확인하시는 게 안전합니다.

2. 우선 상이한 사업 간에 우선순위 비교가 이루어지는 것은 조직의 상층부입니다. 그런데 조직단위책임자가 대안을 개발하고 어느 수준의 서비스 제공이 경제적인가를 평가·결정하기는 시간적 제약상 쉽지 않아서 우선순위 결정이 곤란하며, 가치판단이 개입되는 영역에 비용효과분석을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3. 문제 오류입니다. 해당 지문은 '국회의 의결이 없어도 집행될 수 있다'로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