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구조적 상황론(상황적응론) 선지 중 헷갈리는 것들 | ||
등록일 | 2021-02-10 11:18:02 | 조회수 | 882 |
안녕하세요. 항상 감사합니다.
거시조직론 중 구조적 상황론에 질문 있어 글 남깁니다. (추록 102p, 2번문제)
1. 독립변수나 상황적 조건들을 한정하거나 유형화하지 않는 유연한 분석을 통해 문제에 대한 처방을 추구한다. (X)
>저는 상황적응론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다고 생각해서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변수적 연구: 환경, 기술, 규모 등 다양한 상황변수를 고려] vs [중범위이론: 연구대상이 될 변수를 한정하고 복잡한 상황적 조건들을 유형화]
상기 2개의 특징이 배치된다고 생각했는데, 다양한 상황변수를 고려하되 그 고려 수준이 거시 수준보다 낮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2. 중범위라는 제한된 수준 내에서 일반성과 규칙성의 발견을 추구한다. (O)
>상황적응론은 개별조직이 놓여 있는 상황에 따라 조직의 구조와 전략이 달라져야 한다는 이론인데,
[일반성과 규칙성의 발견=유일최선의 방법을 도식화] 한다는 말로 이해해서 틀렸습니다. 여기서 제가 잘못 끌어내고 있는 건가요? 일반성과 규칙성의 발견은 단지 중범위이론의 특징이라고만 인지하면 될까요?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이전글 | 2021년 9급 기출 질문입니다 |
다음글 | 2021 기출문제 추록 질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