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Q. 호그우드(Hogwood)와 피터스(Peters)의 정책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책혁신은 기존의 조직과 예산을 활용하여 이전에 관여한 적이 없는 새로운 정책분야에 개입하는 것이다.
② 정책종결은 현존하는 정책을 완전히 소멸시키는 것으로 정책수단이 되는 사업과 지원 예산을 중단하고 이들을 대체할 다른 수단을 결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③ 과속차량 단속이라는 목표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에 경찰관이 현장에서 직접 단속하는 수단을 무인 감시카메라 설치를 통한 단속으로 대체하는 것은 정책승계 중 선형적(linear) 승계에 해당한다.
④ 정책유지는 현재의 정책을 기본적으로 유지하면서 정책수단의 부분적인 변화만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A. ①
[해설]
① 정책혁신이란 완전히 새로운 정책을 채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조직과 예산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조직과 예산이 완전히 없는 ‘無’에서 새로운 정책을 만드는 것이다.
② 정책종결은 기존 정책을 소멸시키는 것으로 사업과 자원 예산을 중단하거나 대체할 다른 수단을 찾지 않는 경우이다.
③ 정책목표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책내용을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바꾸는 경우(정책목표 : 과속 단속으로 동일함. / 정책내용 : 경찰관 현장 단속 → 무인감시카메라 단속)이므로 선형적 승계에 해당한다.
④ 정책유지는 현재 정책의 기본골격은 유지하면서 정책수단의 부분적인 변화만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중에서 3번과 4번이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올립니다.
정책유지의 부분 변화라는 것은 어떤걸 의미하나요?
과속 단속이라는 정책 목표를 유지한 채 유인 단속에서 무인 단속으로 정책 수단이 변화된 것을 부분 변화라고 볼 수 없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