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0 행정학 기출
등록일 2020-05-08 18:46:31 조회수 1,282

page 308 9번에 1번에 일반적인 델파이와는 달리 개인의 이해관계나 가치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는 보기에 질문이 있습니다. 

 

1번에 따르면 정책적 델파이는 개인의 이해관계나 가치판단이 개입이 되나 일반적 델파이는 개인의 이해관계나 가치판단이 개입되지 않는다는 것인데 보카 행정학에서 델파이기법은 독자적으로 형성된 전문가들의 판단 종합 정리하는 미래적 예측기법. 미래사건에 관한 학식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설문조사방식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교환을  습득하는 직관적 미래예측절차라고 적혀있습니다. 

 

보카행정학에도 나와있다싶이 '델파이기법은 독자적으로 형성된 전문가들의 판단'이라는 부분을 보면 가치판단이 개입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직관적 미래예측절차'라는 점에서 직관적 예측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직관적 예측은 경험적 자료나 이론이 없을 때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으로 먼 미래를 예측한다고 필기노트에 나와있어 주관적으로 판단할 수는 대목에서 개인의 이해관계도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만약 주관적 판단할 수는 대목에서 개인의 이해관계도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다는 것이 비약적이라고 생각이 되어도 가치판단이 개입된다는 것 자체에서 1번 보기도 옳지 않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저는 1번에 정책 델파이는) 일반적 델파이와 같이 개인의 이해관계나 가치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 가 되야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 질문을 드립니다. (물론 3번이 정확히 아니어서 3번을 정답으로 골랐으나 1번 보기를 해설만으로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가 이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한 이유를 자세히 적어야 설명해 주실 때 편하실 것 같다고 생각해서 일단은 길게 적었으나 약간 중구난방한면도 있으면서 저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잘 전달이 될 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글 정보
이전글 2020 기출 1114p
다음글 공직자 윤리 위원회

김중규교수 (20-05-09 09:02)
주관적 판단할 수는 대목에서 개인의 이해관계도 고려될 수 있다?

이건 너무 비약....ㅠㅠ

물론 전통적 델파이가 주관적 예측기법이지만 정책델파이에 비하면 이해관계자가 아닌 전문가들로만 구성되어 비교적 개인적 이해관계는 배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