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신행정론과 전문성 | ||
등록일 | 2025-09-26 12:50:14 | 조회수 | 64 |
항상 꼼꼼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지난번 답변에서 대부분의 신행정론자들과 왈도가 말하는 전문직업주의는 사실상 같은 의미이며 둘다 윤리와 도덕으로 무장된 실천적 역량을 옹호하는 것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문제에서 신행정론은 전문직업주의를 비판한다고하면 맞는 것인가요?
맞다면 블랙스버그 선언은 신행정론의 계승운동이라 신행정론과 일맥상통해야하는데 그러려면 블랙스버그선언 또한 전문직업주의를 비판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기본서 134쪽 날개에는 블랙스버그선언이 직업관료제와 전문직업주의를 옹호했다고 되어있어서요 여기서 직업관료제(직업공무원제)와 전문직업주의는 의미가 다르다는 것은 알겠는데 신행정론을 계승했다고 하면서 (+NPM에 비판적이면서) NPM이 주장하고 신행정론이 비판한 전문직업주의를 옹호했다는것은 무슨 의미로 봐야하나요?
+신행정론에서 왈도가 전문적 행정교육을 중시하는 전문행정대학원의 설치를 통해 전문관료의 양성을 강조하였다(전문적 행정학교육중시)라고 배웠는데 기본서 134쪽 날개에 신행정론에 대한 비판으로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나와있는게 왜일까요?
신행정론은 관료들의 전문성을 중시한거 아닌가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이전글 | 주민소송 위법한 재무행위 |
다음글 | 25국7모의고사 14회 질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