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체제론과 개방체제 | ||
등록일 | 2025-09-24 18:52:45 | 조회수 | 88 |
제가 예전에 다른 교재에서 행정학 공부를 했을때 샡태론, 체제론, 비교행정론은 개방체제이고(환경을 고려) 그 이전에는 환경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폐쇄체제 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선행정학 교재에서는 개방체제와 체제론을 비교하면서 개방체제는 동태적 균형을 추구하고 진화, 발전이 가능하지만 체제론은 정태적 이론이고 변화와 발전 설명이 곤란하다고 되어있는데요 그렇다면 체제론을 개방체제로 보는 것은 틀린 것인가요? 두 개념을 다르게 봐야하는 건가요?
체제론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개방체제를 전제로 한다고 알고 있는데 개방체제는 진화, 발전이 가능하지만 체제론은 진화, 발전의 설명이 곤란하다고하니 헷갈립니다
+교수님의 다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봤을때 체제론은 환경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과정에서 진화, 발전은 가능하지만 환경을 변화, 발전시킬 수는 없다고 하셨는데요 체제론은 체제의 항상성유지를 설명하는 이론인데 환경과의 균형을 맞춰가는 과정에서 진화, 발전을 한다는것은 체제가 진화,발전 한다는 것 아닌가요? 그럼 체제론은 그 균형을 맞춰가는 과정에서는 체제를 진화시키지만 균형이 맞게 되면 더이상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체제의 항상성 유지 즉 정태적 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또한 체제론은 동태적 균형을 추구하지만 정태적 이론이다 라고 했을때 맞는 것인가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교수님 교재의 꼭 알아두기 부분 덕분에 헷갈리는 걸 다시한번 생각해보고 더 꼼꼼히 공부할수 있는것 같습니다
이전글 | 실천적 접근의 의미 |
다음글 | Simon의 인지모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