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생태론 중범위적 | ||
등록일 | 2025-09-23 01:07:01 | 조회수 | 97 |
생태론은 보편성과 특수성의 중간적 성격이기 때문에 중범위이론이라고 본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런데 생태론을 중범위적이라고 할때 행정이론을 구분하는 원래의미인 미시와 거시의 중간 즉 제도나 집단 정도에서 연구를한다는 의미로서 중범위적이라고 할 수도 있는 건가요? (생태론은 국가 차원에서 연구)
중범위적이라는게 여러 의미로 쓰일수 있는 것도 알겠고 보편성과 특수성의 중간으로서 중범위적이론이란 것은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어떤 교재에서는 생태론을 미시와 거시의 중간이란 의미에서 중범위적으로 분류를 하고 어떤 교재에서는 거시적이라고 보아서 그부분이 헷갈립니다 크게 상관 없을까요?
또한 생태론이 보편적 이론보다 중범위이론에 자극을 주어 행정연구의 과학화에 기여하였다는데 보편적인것이 더 과학화와 일맥상통하는 말 아닌가요? 생태론의 한계에 행정의 특수성을 강조했다는데 특수성은 과학성과 대비되고 기술성과 어울리는 말인데 어떻게 생태론이 과학화에 기여했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기존이론 들과 생태론, 체제론, 비교행정론 까지를 과학성을 가지는 행정이론으로 보고 그 이후(발전행정론)부터를 기술성을 지닌 다고 보는데 생태론이 행정의 특수성을 강조했다는 것은 기술성과 오히려 일맥상통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리그스의 프리즘적 사회를 생태론으로보기도하고 비교행정론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겠죠?
감사합니다
이전글 | 갈등관리 |
다음글 | 2026년기출문제집 9p 8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