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2021 all pass 모의고사 국가직 9급 | ||
등록일 | 2021-02-24 07:34:17 | 조회수 | 961 |
1. 31p 15번 해설 밑에 사회전체(총)효용의 증가 설명에서 과정설은 “누구의 효용이 증가하느냐 보다 사회전체효용의 크기만 증가하면 공익이 향상된다라고 쓰여 있는데 똑같은 문장이 위에 공리주의 설명으로 쓰여 있어 어느 것이 맞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과정설은 사익의 총합이고 실체설은 사익의 총합을 최대화한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위 문장은 실체설과 같은 의미로 느껴져서요,,
2. 1번 질문과 같은 맥락인데 전에 답변해 주신 것을 보면
과정설·공리주의적 관점의 공익에서 말하는 '적법절차의 준수'는 적법절차의 준수나 민주적 조정과정에 의한 공익 도출을 중시한다는 뜻입니다. 즉 수많은 사익 간의 갈등을 조정·타협해서 '공익을 도출하는 과정이 적법'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반면 ㄷ 지문은 '윤리적 행정의 판단기준'으로서의 합법성을 묻고 있습니다.
과정설·공리주의적 관점의 공익은 목적론(상대론)적 윤리관을 따릅니다. 즉 보편적·절대적 가치판단기준이 없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해설에도 나와있듯이 공리주의는 형평성이나 합법성 같은 절차적·절대적 법칙이나 가치보다는 효율성이나 성과 등 결과적·상대적 가치만을 중시한다고 봅니다.
위 답변에서 1문단에서 공리주의는 결과를 중시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적법절차의 준수는 과정설만의 특징 아닌가요?
2문단에서는 과정설은 의무론적 윤리론이라고 알고 있는데, 목적론(상대론)적 윤리관은 공리주의만의 특징 아닌가요,,
왜 둘다 과정설•공리주의적 관점이라고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공리주의는 실체설과 어울리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나요??
3. 크리밍 효과 = 상이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선택과 실험조작의 상호작용 = 표본의 대표성 부족
다 같은 말인가요??
이전글 | 질문 드립니다. |
다음글 | 2021 필기노트 132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