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3기출1 354p-6
등록일 2022-08-05 21:54:30 조회수 392

1) 

(2)에서 형성평가는 정책 집행 도중에 과정의 적절성과 수단 목표간 인과성 등을 평하는 것이라는데

이건 과정 평가아닌가요?

형성평가가 프로그램 이론으로 집행을 분석하는거고

과정평가는 프로그램 인과경로를 평가하는거아닌가요??

 

2)과정평가안에 협의의 형성평가 협의의 과정평가가 들어가는거면

문제에서 그냥 과정평가 라고만 쓰면 넓게보고

협의의 과정평가 라고 하면 좁게보면되나요?

 

글 정보
이전글 딜레마 이론 관련 질문
다음글 정책론-비용편익분석

합격생조교15 (22-08-06 14:35)
안녕하세요 카스파 조교입니다.


사실 형성평가와 과정평가는 넓게보면 거의 같은 개념이기에, 수험생의 입장에서 많이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는 "정책집행 도중"에 과정의 적절성과 수단·목표 간 인과성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
1. by 평가"시기" 형성평가(집행 도중)-총괄평가(사후 평가)
2. by 평가"목적" 과정평가(집행과정을 평가)-총괄평가(정책의 효과성을 평가)

이렇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넓게 보면 형성평가와 과정평가는 거의 같은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앞에 아무 말 없이 그냥 '형성평가' '과정평가' 이렇게 부를 때는 그렇습니다.

그런데 앞에 협의의 라는 단어가 붙게 되면,
과정평가를 협의의 형성평가, 협의의 과정평가로 또 나눌 수 있습니다.

'협의'의 형성평가=집행분석입니다. 집행과정을 평가해서 더 효율적으로 정책내용을 형성, 수정하기 위한 단계입니다.
'협의'의 과정평가= 인과관계 경로평가입니다. 정책의 인과 경로 자체가 제대로 설계된 것인지를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협의의~ 식으로 구분하는지, 일반적인 형성평가를 얘기하는지 상대적으로 판단하며 푸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