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1 대비 기출문제집 485p 7번 문제 질문입니다. hm
등록일 2021-01-20 13:30:33 조회수 396

[문제]

목표관리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의 목표와 조직원의 목표를 통합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유지한다. ( O )

 

[틀린 이유]

1. MBO는 개별적 목표를 중시한다고 생각해서 틀림(조직X, 개별부서O)

2. MBO는 개별부서 중심의 단기적, 미시적, 계량적 목표를 추구하기 때문에

  조직 전체적 관점에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해서 틀림

 

위와 같은 이유로 MBO는 개별부서 중심의 목표를 중시한 것이므로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유지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이 되서 틀렸습니다.

 

[결론]

조직의 목표와 조직원의 목표를 통합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유지하면서

개별부서 중심의 단기적 목표를 추구한다는 말이

도대체 무슨 목표에 중점을 두는 건가요?

 

 제가 지금 MBO는 조직전체적 관점에서 생산성을 추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이 개념이 너무 깊게 박혀있어서

"조직의 목표를 통합" "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유도"이런 문장 들이 받아들여지지가 않는데

이 쟁점을 어떻게 정리하면 좋을지 의견 여쭙고 싶습니다.

 

[참고]

저 1번 선지가

개별 조직의 목표와 개별 조직원의 목표를 통합하여 개별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유지한다 였다면 옳은 선지로 100% 인정 가능합니다.

 

근데 저것을 개별조직을 이야기하는 것이다라고 보는 것은 확대해석으로 판단되며 위와 같은 논리가 맞으려면

 

"MBO는 조직전체적 관점에서 생산성 추구가 곤란하다"라는 문장도 틀린 문장이 되어야 합니다.

MBO는 개별조직 전체적 관점에서 생산성 추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글 정보
이전글 21.01.19 복습테스트
다음글 2021 7급 기출문제집 475쪽 17번

합격생조교3 (21-01-20 18:45)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교재 내용을 질문하실 때는 몇급 교재인지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교수님께서도 늘 강조하시지만, 행정학의 많은 부분에서 제도의 명분(주장, 추구)과 현실(평가, 비판)이 상충되기 때문에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많습니다. 따라서 어떤 제도든지 특징·장점과 그 제도의 현실·단점은 구분해서 알아두셔야 합니다.

MBO는 조직목표와 개인목표(부하목표)의 조화를 중시하는 통합적 관리전략입니다. 따라서 '조직의 목표와 조직원의 목표를 통합하여 조직의 목표달성을 유도한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유지가 아니라 '유도'라고 출제되었습니다.)

그러나 MBO는 어디까지나 기본적·장기적·질적 목표가 아니라 사소한 단기적·양적 목표에 치중하므로 조직전체적 관점에서 생산성을 추구하는 것이 곤란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