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전문성과 전문화 차이
등록일 2024-06-20 03:42:14 조회수 62

안녕하세요. 교수님 직접 답변원합니다.. 대표관료제의 특징 (2022기필고 필기노트 107페이지) 실적제와의 상충 : 행정의 전문성 생산성 저해. 라고 되어있습니다. 실적제가 능력 중심으로 뽑았다면 대표관료제는 출신 중심이므로 행정의 전문성과 생산성이 저해된다는 건 이해갑니다 그런데 직업공무원제는 행정의 전문성이 저해된다가 단점이면 실적제는 직업공무원제의 상위개념인데 전문성은 올려주고 직업공무원제는 전문성을 떨어뜨리고. 둘의 차이점이라고 보면되나요? 그리고 직업공무원제가 행정의 전문성을 떨어뜨리는이유가 일반 행정가 라고 하셨는데 전문행정가와 일반행정가 뜻이 뭔가요?? 요약 : 1. 실적주의 전문성 상향 ,직업공무원제는 전문성 하향 둘의 차이점인가요? 2. 직업공무원제 > 일반행정가주의 여기서 전문행정가와 일반행정가 뜻이 뭔가요??
글 정보
이전글 이용 전용
다음글 교부금

김중규교수 (24-06-20 17:12)
실적제를 직업공무원제의 "상위개념"으로 보는 것 때문에 생기는 혼란 같아요..ㅠ

실적제를 넓게 보면(개방형과 폐쇄형 모두 포함) 직업공무원제를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좁게 보면 미국의 개방형 실적주의만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직업공무원제와 대비되는 속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실적제는 전문성을 제고시키지만 직업공무원제는 일반행정가를 양성하므로 전문성이 저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