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거래비용이론이 자원의존이론의 한 접근법?
등록일 2022-12-22 11:28:55 조회수 377

2022.12.17 | 신삼빈거래비용이론은 결정론 자원의존이론은 임의론인데 왜 거래비용이론이 자원의존이론의 한 접근법에 해당되나요? 목록 RE. 합격생조교14 2022.12.19 안녕하세요. 카스파 조교입니다. 혹시 어떤 기출문제를 푸시다가 의문점이 생기신건지, 아니면 교재를 보시다가 의문점이 생기신건지 질문에 출처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022 지방7급 8번문제 2번지문 해설강의듣다보면 거래비용이론은 자원의존이론의 한 접근법으로 이부분의 맞으나 조직간거래비용보다는 조직내 거래비용에 더 많은 관심을 둔다는 부분이 틀리다고 하셨습니다.
글 정보
이전글 커리 및 공부 방향 상담 [중규샘이 답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글 이슈네트워크 질문

김중규교수 (22-12-24 10:25)
자원의존이론과 거래비용경제학의 관계는 상대적입니다.

거래비용이론이 결정론인가 임의론인가의 관점에서만 본다면 결정론적 관점이므로 임의론인 자원의존이론과 성격이 다르다고 볼 수 있지만

조직이란 원하는 자원을 스스로 모두 확보할 수는 없으므로 다른 조직과 거래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는 자원의존이론의 성격을 일부 가지고 있습니다.  어떠한 조직도 완전히 자족적일 수는 없으며 조직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얻기 위하여 다른 조직과 거래를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거래관계가 자원의존성을 유발한다고 보기 때문에 자원의존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는 이러한 점에서는 맥락이 유사한 접근법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이 자원의존성을 극소화하여 자원통제력을 극대화하려고 하는 적극적인 이론인 반면, 거래비용경제학은 거래비용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이를 최소화하려는 소극적인 이론이라는 점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