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올인원 345p
등록일 2023-04-03 07:25:05 조회수 153

행태론적 리더십 연구(아이오와 대학, 오하이오 주립대학, 미시간 대학 연구, 블레이크와 무통의 연구)2차원적 리더십연구이고 상황론적 연구는 3차원적 리더십 연구가 맞나요?

그리고 비슷한 종류(?)라서 같이 질문드려요. 기출 462p 12-1 피들러의 3차원 리더십 연구가 아닌가요? 상황론적 연구는 3차원이니까요.

글 정보
이전글 기출 469p
다음글 국가직 대비

합격생조교20 (23-04-03 10:23)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우선, 상황론 안에 삼차원이론이 포함된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상황을 고려한 모든 이론은 상황론에 포함되므로 당연히 삼차원이론도 여기에 포함은 됩니다.
그러나 3차원이론은 리더십의 행동유형에 ‘효율성’이라는 ‘차원’을 추가한 이론이기 때문에 Reddin의 삼차원모형, Hersey & Blanchard의 삼차원모형(성숙도이론), House & Evans의 경로목표모형 이 3가지만 해당됩니다.

단순히 상황을 고려한 것이 상황론적 리더십이론(피들러 등)이고,
효율성까지 고려한 것이 3차원적 리더십이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행태론은 2차원적 리더십연구가 맞지만,
상황론적 연구가 곧 3차원적 연구를 뜻하는 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