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여다나 조직론 강의중
등록일 2023-05-15 02:27:03 조회수 128

Deft • 환경의 불확실성 따라 구조도 달라진다. • 복잡성 (경쟁이 있냐 없냐) • 동태성 (환경의 변화가 있나 없냐) • 단순/ 안정 -> 불확실성 낮음 : 기계적 • 복잡/동태->불확실성 높음 : 유기적 •경쟁보다 변화가 더 중요하다. • 정태적 /경쟁 ㅇ -> 다소집권. 기계적 • 동태적 / 경쟁 x -> 다소분권. 유기적 • 동태적 / 경쟁 ㅇ -> 고도 분권, 유기적 이렇게말씀하셨는데 이 이론이 뭔지 잘 모르겠고 제가 서술한 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부분 자료가 있다면 파일로 받고싶습니다
글 정보
이전글 기출강의 관련 커리 상담 부탁드립니다
다음글 2024 여다나 출간 문의

합격생조교20 (23-05-15 17:16)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적어주신 내용은 Daft의 조직구조(기능사매수네유)보다는 Mintzberg의 조직유형(단기전사임)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다섯 가지 조직유형 설계 표의 내용을 짧게 정리한 내용으로 보입니다.(여다나 160페이지 하단 유형별 특징 표를 보면서 정리해보시면 됩니다.)

.• 복잡성 (경쟁이 있냐 없냐) • 동태성 (환경의 변화가 있나 없냐)
=>  표의 상황요인-환경 칸에 적혀있는 단순/복잡/동태/안정의 의미

• 단순/ 안정적인 환경이라면 불확실성 낮기에 기계적 구조가 적합
• 복잡/동태적인 환경이라면 불확실성 높기에 유기적 구조가 적합
 
• 정태적(안정적)/경쟁o(복잡)한 환경이라면 다소집권된 구조가 적합(기계적) => 표에서 ‘전문적 관료제’
• 동태적/경쟁x(단순)한 환경이라면 다소분권된 구조가 적합(유기적) => 표에서 ‘단순구조’
• 동태적/경쟁o(복잡)한 환경이라면 고도로 분권화된 구조가 적합(유기적) => 표에서 ‘임시특별구조’

표에서 환경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조직구조를 나눠서 설명한 것입니다.
여다나 강의가 이해가 잘 안되셨다면 해당 파트의 개념 강의를 들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조직론 같은 경우에는 빈출되는 중요한 파트이기도 하고, 기본적인 개념 이해부터 꼼꼼하게 잘 되어야 문제를 풀기가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