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지방직 모고 13회 6번
등록일 2023-05-11 01:29:55 조회수 159

4번지문에서 환경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통솔범위는 넓어진다(o) 

교수님께서 환경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경쟁이 치열해진다는 것이고 불확실성이 높아져서 유기적구조가 되니까 통솔범위는 넓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하셨는데 

여다나 184쪽 구조변수 간 관계에 보면 환경이 불확실할 때 복잡성이 (-)니까 복잡성이 높아지면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아진다는 것 아닌가요? 

글 정보
이전글 기출 806p 성과주의 예산
다음글 2023 기다나 284p 유제

합격생조교20 (23-05-11 12:07)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조직구조 자체의 복잡성과 환경의 복잡성을 구분해야 합니다.
184쪽 구조변수 간 관계에서의 복잡성은 구조 자체의 복잡성이고, 4번지문에서는 ‘환경’의 복잡성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① 기계적 구조 : 조직 자체의 복잡성은 높음(계층 수가 많고, 업무분화 정도가 높음).
그렇기 때문에 외부 환경이 확실(단순, 안정)할 경우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업무 수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

② 유기적 구조 : 조직 자체의 복잡성은 낮음(계층 수가 적고, 업무분화 정도가 낮음).
그렇기 때문에 외부 환경이 불확실(‘복잡’, 역동)할 경우 신축적으로 문제해결을 해나가며 대응하는 데에 유리함

환경의 복잡성(불확실성)이 높을수록 많이 분화하면 복잡해지니까 분화(구조의 복잡성)는 낮아지고,
사업의 변동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유기적구조가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