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질문드립니다.
등록일 2020-10-13 16:13:54 조회수 655

링크 : http://.  [35]

조직론 기출을 풀다 질문이 있는데요...


1. 사업구조는 부서내에서 기능간 조정은 용이하지만 사업부서간 조정은 곤란하다.

2. 사업부서 내의 기능 간 조정이 용이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3. 기능별조직은 기능간 조정이  곤란하므로 환경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


사업구조는 부서내에서 기능간 조정은 용이하지만 부서간 조정은 곤란하다는 말인가요? 그래서 2번에 사업부서 내의 기능 간 조정은 용이하다는 말이 옳은 말인 건가요? 3번에서 기능간 조정은 해설을 보니 기능간 수평적 조정이라고 되어 있는데 기능간 조정을 수평적 조정이라고 기억해야 하나요? 이게 너무 헷갈려요...

글 정보
이전글 군무원관련 커리, 공부방법 등 상담
다음글 기출 질문

합격생조교4 (20-10-13 20:11)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사업구조는 말씀하신대로
부서 내 기능간 조정은 용이, 부서 간 조정은 곤란이 옳습니다. 따라서 2번 문장도 옳은 문장이구요.

3번의 경우 이 파트에서는 기능간 조정을 수평적 조정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완전히 혼용해서 쓰는 용어라고 암기하지 마시고 결국 같은 말이구나라는 것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기능구조는 인사부, 제조부 등 기능별로 나누어진 부서로 이루어진 조직인데
이 때 수평적, 즉 인사부와 제조부끼리는 서로 하는 일이 너무 다르고 호환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소통과 조정이 어렵습니다. 반면 인사부 내에서 수직적(사원~팀장~등) 조정은 용이합니다.

사업구조의 경우, 우선 A제품 부서와 B제품 부서가 있고 각각 그 안에 독자적인 인사, 제조, 회계 등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는 조직입니다.
여기서는 A제품 부서 내에서는 조정이 잘 됩니다. = 부서 내에서의 인사, 제조 등 기능끼리는 조정이 잘된다는 뜻입니다. 기능구조에서 기능부서들은 너무 범위가 크고 서로 공통점이 없는 것과 달리, 사업구조의 기능들은 A제품에 관련된 인사와 제조만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반면 사업구조의 부서간 조정 (=A제품부서와 B제품부서 간의 조정)은 어렵습니다. 서로 다른 사업목표를 가지고 독자적인 업무를 하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이 예시를 생각하시면서 말뜻을 이해하신다면 달달 암기하는 부분은 아니여서 쉽게 학습하실 수 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