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5 김중규 최빈출 600제 65p <신행정론의 주요 특징>
등록일 2025-01-22 21:23:31 조회수 34

안녕하세요, 7급 기출 문풀 강의(600제) 내용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신행정론의 정책 지향성에 대해서 제도 및 관리보다는 정책을 지향한다는 의미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이는 신행정론이 행태주의와 같이 제도를 중요시하지 않았다고 이해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라면 단순히 신행정론이 단순 집행이나 제도, 관리보다는 적실성과 실천을 위한 정책 형성에 주안점을 뒀다는 정도로 이해해야 하는 것인가요?

신행정론은 행태주의에 반대하면서 태동했기도 했고 제도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행태주의의 특징이 항상

신제도주의와 비교됐어서, 이렇게도 연결되는 것인지 궁금증이 생겨 질문합니다.

 

항상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에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잘 챙기세요!

글 정보
이전글 기관위임사무 단체위임사무
다음글 자주재원 질문

김중규교수 (25-01-22 21:45)
신행정론이 행태주의와 같이 제도를 중요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서로 유사하고 고전적 행정론과 다른 점입니다. 
그렇다고 그러한 유사점이 행태론과 신행정론을 연결시켜 주지는 않습니다. 아무 관계가 없어요

행태론은 제도보다 행태를 중시한 것이고
신행정론은 제도나 관리보다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중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