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막스 베버의 관료제와 리더십에 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등록일 2025-10-09 19:05:13 조회수 13

두 가지 질문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서 글을 써봅니다.

하나는 2026 기출 문제집 346p.g 01번 에서1번 선지입니다.

과학적 관리론에서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였다가 틀린 것이라고 나오며 '행태론에서 동기이론과 함께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다.' 설명되는데, 인간관계론에서 나온 특성론(자질론)은 리더십 연구의 시작으로 인정받지 못 하는 것 인지 궁금합니다.

 

다른 하나는371p.g의 02번 문제의 1번 선지인데요.

베버의 관료제를 배우던, 선행정학 입문 ab급 당시에 관료제 이론이 봉건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었다고 들은 기억이 납니다.

그러면 베버의 관료제는 '봉건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고, 봉건적 지배제도를 타파하는 근대적 지배체제의 확립을 배경으로 한다' 라고 이해하고,

영향을 받은 이유는 '봉건적 제도는 바로 직전의 것이라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글 정보
이전글 제주시 자치경찰제
다음글 조세지출예산 의회 통제

김중규교수 (25-10-09 19:59)
1. 인정받고 있습니다. 인간관계론에서부터 연구되기 시작되어 행태론에서 동기이론과 함께 본격적으로 연구되었습니다.

2. 관료제가 봉건제나 군주제하에서도 존재하긴 했습니다만 성격은 완전히 다릅니다.
베버의 근대관료제는 왕의 개인적 신하로서의 관료가 아니라 법규에 의하여 임용되고 신분이 보장되는 직업관료제라는 점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