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인사행정 문제 질문
등록일 2024-05-17 19:15:25 조회수 118

안녕하세요. 추가적으로 타사 모고를 풀다가 그쪽에 질문을 드렸는데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아 카스파에 질문글 올립니다.

 

1. 23번 (괄호) 안의 부분은 법이 개정되어서 교육과정은 필수사항이 아니므로 역량평가만 통과하면 된다는데, 맞나요?

 

2. 24번 2번 선지가 옳은 선지인데...엽실직대로 암기하고 있었는데, 여기서 추가적으로 영국은 직업공무원제가 실적주의보다 먼저 도입되었다고 외우면 되나요?

 

3. (2번째 사진)16번의 4번이 옳은 선지인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실적주의를 바탕으로 개방형(미국)과 폐쇄형(영국)이 나오고, 그걸 기반으로 개방형->직위분류제와 폐쇄형->계급제가 나오게 된 것 아닌가요? 이렇게 타사에 질문 드리니 완전히 잘못 알고 있다는 답변을 받아서요...ㅜㅜ 압축 강의로 해당부분 들었는데 압축에서는 장단점 위주로 빠르게 설명하다보니 거기서 해답을 못 들었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나요? 기본강의로 가서 해당 파트를 다시 들어야하나요...?

글 정보
이전글 기출문제집 28페이지부터 질문
다음글 지방직동형 18회

김중규교수 (24-05-18 09:00)
1. 작년 하반기에 규정이 개정되어 현재 필수는 아닙니다.

2. 역사가 깊은 영국의 인사제도 정립이 미국보다 훨씬 앞섰습니다. 직업공무원제는 절대군주국가시절부터 있었으니까요..   

3. 완전히 잘못 알고 있습니다. 직업공무원제나 계급제가 실적제보다 훨씬 그 이전에 있었지요...다만 그게 실적주의 유형에서 폐쇄형 실적주의와 연관된다는 것이지 꼭 그 순서대로 생긴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