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행정학질문게시판

글 정보
제  목 2022 모의고사 국가9급 / 해설 187쪽 / 문제 3번 해설 / 사회학적 신제도론
등록일 2022-04-17 11:37:30 조회수 515

2022 모의고사 국가9급 / 해설 187쪽 / 문제 3번 해설 / 사회학적 신제도론

 

안녕하세요.

 

1.

사회학적 신제도론은

왜 인류의 보편적 제도를 부정하나요? 

제도의 유사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니까 부정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2.

행태주의,다언주의,합리적선택이론

이들은 미시적으로 개별특수성만 연구하였고 거시적으로 통용되는 제도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아서

그에 반발해서 생긴 것이 신제도론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그러면 신제도론의 하나인 사회학적 신제도론도 보편적 제도를 부정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ㅠ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글 정보
이전글 2022 모의고사 국가9급 / 해설 190쪽 / 문제 15번 / 실험
다음글 기출 786p

합격생조교12 (22-04-18 16:41)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1. 모든 제도는 변화하고 다양할 수 있다는 게 신제도론의 공통된 전제입니다. 여기서 보편적 제도라는 표현은 정태적 제도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즉 보편적과 유사성은 다른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우선 이해하셔야 합니다.

사회문화적 신제도주의에서 제도 간의 유사성을 내세우는 근거는 제도적 동형화 때문입니다. 그런데 제도적 동형화가 이뤄지려면 서로 닮아가는 과정이 있어야 합니다. 즉, 제도와 제도간에 충돌, 부딪힘, 문화교류 등이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반면 보편적 제도는 그러한 충돌, 부딪힘, 문화교류 등도 없이 시공간을 뛰어넘는 제도라는 것인데, 이러한 정태적인 제도의 존재는 제도적 동형화를 부정하는 것이며 신제도론 중 어느 유파도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2. 네 맞습니다. 행태주의 등은 제도의 역할을 아예 무시했고, 구제도주의는 제도의 역할만 중시하고 개인의 선호등을 아예 무시했기에 이 둘의 중간 정도인 신제도주의가 등장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