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공공선택론, 신공공관리론 질문
등록일 2021-01-28 20:31:11 조회수 83

2021 9급 기출문제집 


기출 1권 134쪽 8번 2번 지문

공공선택론은 기존의 정치학적으로만 다뤄졌던 공공부문에 시장적, 경제학적 관점을 도입해서 시민들이 자신의 선호에 따라 공공재를 선택한다는 이론입니다. 

그렇기에 3번 지문처럼 관료에게 집중 되었던 권력을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지 그 권력을 시민에게 준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갑니다

 

기출 1권 157쪽 17번 2번 지문

신공공관리론은 정부실패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기제를 도입해서 작은 정부을 추구하는데

2번 지문에 '공공서비스의 소유권과 통제권을 관료로부터 시민에게 넘겨주어야 한다' 가 맞는 지문입니다.

해설에는 관료의 권한을 줄이고 시장과 시민의 권한을 확대한다고 나와있는데

 

제가 이해한 건 공공선택론과 신공공관리론은 둘 다 기존의 중앙정부가 관리해온 공적 영역에 시장적 시스템을 도입해서 기업에 권한과 자율성을 높인다고 생각해 둘 이론을 비슷하게 봤었습니다.

 

공공선택이론과 신공공관리론은 무엇이 다르기에 

질문한 3번 지문과 2번 지문에서 시민에게 공공영역의 권한을 넘겨주고 안 넘겨주고의 차이가 있는건가요?

 오히려 공공선택론이 소비자의 선택을 중시하는거기에 권한을 시민에게 준다 이런 말은 신공공관리론보다는 공공선택론에 맞는 말 아닌가요?

글 정보
이전글 기본서 p68 정부실패 대응 질문
다음글 학습 방향 질문드립니다.

합격생조교4 (21-01-28 22:30)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시민이라는 단어가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두 문제의 상충되는 부분이 혼동을 주는 것 같습니다.

1. 134쪽의 시민은 정치적 의미에서의 시민입니다.
공공선택론은 행정을 공공재의 공급과 소비관계로 파악하고 정부는 공공재의 공급자, 국민은 소비자로 규정하여 시장에서처럼 "시민"이 자신의 선호에 따라 공공재를 선택할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인데
이 문장과 134쪽 지문의 시민이란 시장의 의미가 아니라 국민처럼 말 그대로 citizen이라는 뜻입니다.
정부는 공급자, 시민은 소비자이기 때문에 정부가 경제학과 시장기제를 활용하지만 시민이 관료의 통제권한을 대신 가지고 행정의 주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2. 157쪽의 시민은 경제적 의미에서 시장, 민간화와 같은 맥락의 단어입니다.
예를 들어 민영화, 민간위탁이라는 시장기제를 활용한다고 할 때 사실은 정부의 노젓기 역할을 시장, 민간기업에게 넘기는 것인데 이를 시민에게 넘겨준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정부와 관료가 아닌 일반사람들이 운영하는 기업이므로 시민을 시장과 비슷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은 이론을 주장한 학자들이 각각 달라서 그렇기도 하고, 각 문제 출제자가 시민을 어떤 느낌의 단어로 썼는지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수험생 입장에서는 기본서 표현을 기준으로 공부하시되 문제를 풀 때는 조금 유연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