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동형모고 13회 9번 질문입니다.
등록일 2021-04-16 01:40:06 조회수 116

문제: 애드호크라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번선지: 구조적으로 복잡성,공식화,집권화의 정도가 낮다. 이 1번선지가 맞다고 나와있는데 민츠버그에서 단기전사임 중 임시특별구조랑 애드호크라시랑 같다고 생각해서 임시특별구조가 복잡,동태적이라 "복잡성정도가 낮다"라는 말이 틀린걸로 간주하고 1번을 선택했는데 다르게 봐야하나요? 구조변수 간 관계에서 규모,기술,환경과 복,공,집간의 관계에서 어떻게 봐야하나요?
글 정보
이전글 경찰
다음글 시험끝나고 멘탈관리

합격생조교4 (21-04-16 17:26)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네 학자마다 이론이 다르기 때문에 달리 봐주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애드호크라시(유기적 구조)는 복, 공, 집이 모두 낮은 것이 맞습니다.
복잡성은 분화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애드호크라시는 계층화 정도(수직적 분화)가 낮고, 분업 정도(수평적 분화)가 낮기 때문에 복잡성이 낮습니다.

다만 '민츠버그의 이론' 등 일부는 애드호크라시가 수평적 분화가 높은 것(복잡성이 높은 것)으로 봅니다.
엄격한 분업을 꺼리며 넓은 직무범위를 갖추고 있지만, 훈련된 전문요원들로 구성되어 있어 "사람"의 전문화에 따른 수평적 분화 정도는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즉 보통의 경우 복잡성이 낮다고 할 때는, 복잡성을 계층화와 분업("일"의 전문화)라고 정의한 것에 따른 것인 반면,
민츠버그가 복잡성이 높다고 한 것은 복잡성을 "사람"의 전문화에 따른 것입니다.

예를 들어, 민츠버그의 관점에서는 전문가가 여러 명 모인 연구소와 같은 조직을 상상하시면 됩니다.
반면 일반적인 관점에서 수평적 분화는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은 A라는 하나의 일만 하고, b라는 사람은 B라는 하나의 작고 단순한 일만 하는 등 세세하게 일이 나누어진 정도를 의미합니다.

2021 9급 기본서 p392 상단 주의 부분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