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상담 및 문의

글 정보
제  목 학습질문 입니당!
등록일 2020-10-15 21:06:23 조회수 158

필기노트에 정책상황이 불확실 할 때 점증모형을 사용한다고 되어있고 정책변동모형에서 점증주의는 정책의 변동가능성을 부인 한다고 되어있는데 이것이 당최 무슨 말이당께요?? 정책상황의 불확실과 정책의 변동가능성은 다른 뜻 인가요?? 행정학 넘 어렵다...
글 정보
이전글 교수님. 완강 후 이 전략 맞을까요?
다음글 2021 김중규 VOCA 선행정학 수강인증 이벤트관련문의

합격생조교4 (20-10-15 22:11)
안녕하세요 카스파입니다.

정책상황이 불확실한 것은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며
그런 상황에서는 큰 변화가 아닌 기존의 상태에서 점진적, 한계적 변화만 하는 것이 낫기 때문에 합리모형보다는 점증모형이 유리합니다. 즉, 점증모형이 불확실한 정책상황을 전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상황이라면 여러 모형 중에 점증모형이 적합하다는 뜻입니다. 헷갈리시게 된 부분이 아마 전자처럼 생각하셔서 그런 듯합니다.

정책변동모형에서는 비점증과 점증이 있는데 비점증은 정책이 단절적으로 급변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책변동을 인정하는 반면, 점증은 말그대로 기존의 것을 고수하고, 그 상태에서 약간씩의 수정이 있을 뿐 단절적으로 A->B식의 변동은 하지 않는다는 모형이기 때문에 점증모형의 입장에서 정책변동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